경기도가 건설 비리를 뿌리 뽑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전담팀을 구성하고 적발과 동시에 고발 등 엄중 조치하겠다고 나섰다. 도는 감사관실 조사담당관 소속 직원 4명으로 구성된 ‘건설비리 척결 전담 테스크포스(이하 건설비리 T/F)’를 구성하고 지난 20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건설비리 T/F는 부패척결을 위하여 365일 24시간 연중무휴 대형공사장, 하도급업체 알선·청탁 공사현장 건설비리 등 취약분야를 중심으로 첩보수집과 감찰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와 함께 건설부조리 신고센터(☎ 080-9000-188, 031-242-2336)도 운영해 감찰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도는 도와 시군에서 발주하는 각종 건설공사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금품수수, 향응, 업체 간 불법 행위 등 구조적·반복적 부패요인을 선제적으로 감찰하기 위해 전담 TF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도에 따르면, 도 및 도내 시군이 발주하는 1억 원 이상 건설공사는 지난 2013년 1천752건 7천621억 원에서 2014년 1천685건 8천128억 원, 2015년 1천594건 1조299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금품·향응 수수 등 비리행위는 엄격한 문책기준을 적용하며, 금품·향응 등 제공 건설업체와 감리자는 고발 등 엄중 조치할 계획이다.
또한 각종 건설공사 설계변경 등으로 발생한 부당이익은 철저히 환수할 방침이다.
아울러 건설담당 공무원 사기 진작을 위해 적극적인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사항은 ‘적극행정 면책제도’를 통해 징계를 요구하지 않거나 감경하기로 했다.
백맹기 도 감사관은 “청렴하고 열심히 일하는 공직사회를 위해 도, 공공기관, 시·군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이고 관행적인 건설 비리를 척결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