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곤충산업연구회 교육 및 육성계획’ 논의
농기원, 올해 곤충·양잠·양봉산업 지원 확대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지난 20일 농기원 곤충자원센터에서 ‘경기도 곤충산업연구회 교육 및 육성계획’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는 경기도곤충산업연구회 회원 55명, 곤충사육농가 관계자 5명 등 총 60명이 참석한 가운데 곤충산업의 육성방안과 알아야 할 법 규정, 올해 육성계획을 다뤘다.

농기원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경기지역 곤충사육농가는 총 153호, 종사자는 387명으로 2013년 73호, 2014년 93호에서 해마다 늘고 있다.

농기원 곤충기술팀 송성호 농촌지도사는 “곤충은 고단백질원으로 이미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지역과 아프리카, 유럽 등지에서 식·약용으로 사용된다”며 “지구 전체 동물계의 70%를 차지하는 미개발 생물자원인 곤충을 일반 식품원료로 사용해 시장 확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송 지도사는 국내 곤충산업의 문제점으로 ▲곤충산업의 대중이해 부족 ▲고비용 유통구조 및 단순한 유통채널 ▲법·제도 체계 정비 필요 ▲R&D핵심기술 부재 등을 꼽았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농기원은 올해 곤충·양잠·양봉산업을 확대 지원하고 곤충자원을 활용한 사료·식용 곤충 탐색 등 R&D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이날 행사에서는 경기도곤충산업연구회 연간활동과 사업계획 수립, 곤충산업연구회의 활성화를 위한 토의 등이 진행됐다.

김순재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도 농기원은 2013년에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곤충산업 발전을 위한 조례를 제정했고 전국 최초로 곤충산업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아 곤충산업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다”며 “곤충자원센터가 지난해에 완공돼 운영 중으로 토종천적개발, 곤충가공식품, 곤충체험학습에 알맞은 곤충탐색 등 연구개발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승호 기자
- 2017-01-22
<< 이전기사 : 부동산 거래관련 제도 통합·정비해 운영 나서
>> 다음기사 : ‘VR·AR 아카데미 고용연계 R&D 지원사업’ 공모
List Top
 
주소 : ( 450-802 )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191-3 전화 : 대표 (031)692-7700/ 팩스
메일 : iptnews@iptnews.com  Copylight ⓒ 2002-2003 IPTNEWS.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