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동부고속화도로
주민 요구대로 9.9km 지하화 할 경우 사업비 대폭 증가

 

주민 요구대로 9.9km 지하화 할 경우 사업비 대폭 증가
사업 적정성 큰폭으로 감소...참여 사업자 투자 포기 가능성 예상

민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국도1호선 대체도로인 평택동부고속화도가  지역주민들의 무리한 요구로 좌초할 위기에 놓였다.

도로 통과지역에 속한 평택 죽백동 금호어울림아파트(2천215가구)와 송복둥 우곡마을 주민들은 비생대책위를 구성하고, 자신들의 도로 구간에 대해서는 길이 9.9km를 지하화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소음, 분진, 지역단절 등의 생활환경 피해를 이유로 들었다.

평택 동부고속화도로는 진위면 갈곶리에서 용이동을 잇는 4~6차선으로 총길이는 15.37km달한다.

고덕신도개발사업이 완료될 경우 발생하는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으로 LH가 토지보상으로 2525억원을 민간사업자인 (주)한라가 1966억원을 투자하게 한다.

문제는 주민들이 요구하고 있는 9.9km 구간을 지하화 할 경우 사업비가 1966억에서 약 3배가 증가한 6000억원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사업비 20%이상 증가 시 받게 되는 적격성재조사(KDI(공공투자관리센터)), B/C 하락에 따른 적격성 불투명 등으로 사업은 백지화될 우려가 높다.

또한 당초 계획했던 고덕국제신도시 개발 완료에 따른 교통량 분산효과와 국도 1호선과 지방도 317호 구간(쌍용길)의 교통정체현상 해소도 어려워 경제적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평택에서 송탄을 잇는 국도 1호선은 1일 3만대에서 고덕국제신도시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도 차량이 5만5천대로 늘어났다. 또, 쌍용길이라고 불리는 317호 지방도도 인근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차량이 증가하는 추세로 평택동부고속화도로가 백지화 될 경우 교통대란은 피할 수 없다.

한 건설 전문가는 “평택동부고속화도로가 건설될 경우 1호국도의 경우 약 40%인 1일2만대, 쌍용길의 경우 약 20%의 차량 등이 분산되어 지역개발은 물론 경제적 효과 면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문제가 심각한 구간에 대해서는 지하화 할 수는 있으나 주민들이 원하는 9.9km구간 전체 지하화는 경제성, 사업성을 보더라도 다시한번 고려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평택시 도로개발팀 김진영 팀장은 “이 사업이 어려워 질 경우 당초 계획과 달리 상당한 경제적 피해와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주민들이 제기한 소음, 분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시의회는 시의회는 지난 19일 열린 제195회 정례회 3차 본회의에서 동부고속화도로 건설사업의 지하화(지하터널) 전환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한 바 있다.

 

- 최맹철 기자
- 2018-01-31
<< 이전기사 : 포승읍, 주민자치위원회 경로당 방문인사
>> 다음기사 : 평택브레인시트 지주연합회 천막농성 돌입
List Top
 
주소 : ( 450-802 )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191-3 전화 : 대표 (031)692-7700/ 팩스
메일 : iptnews@iptnews.com  Copylight ⓒ 2002-2003 IPTNEWS.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