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오전 11시30분께 평택해양경찰서 상황실에는 긴급한 무전이 접수된다.
“대부도 앞 갯벌에 시신 추정 물체 발견. 즉시 부근 해상 수색 바람”
이에 해경은 안산파출소 연안구조정(2명), 해안순찰팀(5명), 평택해경 구조대(5명) 등을 동원해 시신이 발견됐다는 부근 해상을 수색했다.
또, 민간해양구조대 잠수사 1명, 경기소방본부 소속 소방관 7명, 육군 51사단 병력 12명도 수색에 참가했다.
그러나, 시신이 보였다는 갯벌은 이미 바닷물이 들어와 잠긴 상태였고 안개가 끼어서 위치를 찾기가 힘들었다.
아울러 해경 구조대원과 민간 잠수사를 동원해 시신이 있었다는 부근 해상에서 수중 수색을 버렸지만 실패했다.
이에 평택해경은 날이 어두워져 더 이상 시신을 찾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 일단 수색을 중단한 뒤, 3월 6일 오전 9시 20분쯤 썰물 때에 맞춰 수색을 재개했다.
이어 두 시간여 동안 대부도 북쪽 갯벌과 해상을 수색하던 평택해경은 이날 오전 10시 46분쯤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북쪽 해안에서 약 900미터 떨어진 갯벌에서 시신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발견했다.
그러나, 평택해경 경찰관이 발견한 물체는 시신이 아니라 상하의가 일체로 된 작업복 한 벌이었다.
바닷물과 흙이 들어가 갯벌에 얹혀져 있던 작업복을 신고자가 시신으로 오인한 것.
평택해양경찰서 상황실장 박범만 경위는 “시신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발견했을 때, 경찰관도 처음에는 시신이 맞다고 생각했다.”며 “자세히 살펴보니 옷에 바닷물이 들어가 부풀려져 시신처럼 보이는 작업복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고자가 해루질을 하다가 시신처럼 보이는 작업복을 보고 크게 놀랐던 것 같다”며 “오인 신고이기는 하지만, 신고자가 발견 당시 해안가에 안개가 끼어 있어 시신으로 착각할 수 있는 사건이었다”고 웃어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