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의원들이 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가 불승인으로 추진되지 못할 경우의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평택시에 요구했다.
지난 9일 평택시가 평택시의회 간담회장에서 시의원들을 대상으로 ‘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지방재정 중앙투자사업 심사결과’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시는 시에 통보된 행정자치부의 지방재정 중앙투자사업 심사결과를 토대로 현안 및 보안대책 등을 설명했다.
앞서 행정자치부는 ①성균관대 대학유치 불확실성에 대한 대책 마련 ②평택시 미분양 용지 매입확약 조건 폐지 또는 대폭 완화 방안 마련 ③SPC 취약성에 대한 평택시 개선 노력 필요 ④지구지정, 사업지연 등으로 이해 당사자 민원발생 최소화 대책 필요 등 이유로 재검토 의견을 보내 왔다.
이에 대해 시는 성균관대가 구체적인 계획을 11월 중 제출할 예정이며 투자심사시 책임 있는 대학관계자 참석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미분양 용지 매입확약과 관련해서는 건설투자자를 모집해 매입확약 축소분 보완을 추진할 예정이며 책임준공 건설사 2개사, 참여의향 건설사 4개사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 SPC 취약성 보강을 위한 계획을 수립 중에 있으며 경기도와 화해·조정 협의로 조속한 소송종결을 추진하고 있다고 시의원들에게 설명했다.
이에 시의원들은 ‘재검토’ 결정이 내려진 브레인시티 사업에 대해 강한 우려와 함께 재검토가 내려진 네 가지 사항에 대해 기간 안에 대책을 만들 수 있냐고 따져 물었다.
먼저 박환우 의원은 “시가 금융기관하고 협약을 체결하면서 다 된 것처럼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다”며 시의 태도를 비판했다.
김기성 의원도 “브레인시티와 관련해 줄기차게 문제를 제기했던 네 가지가 그대로 재검토에 내용에 포함 됐다”며 “가장 핵심적으로 제기됐던 성균관대 이전 확정과 미분양 용지 매입비용 3,800억 원에 대한 대안은 이번에도 제시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것은 시가 그동안 안일하게 대처해 온 결과”이라며 “재검토라는 결과가 나오기 전에 시가 제대로 된 준비가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기성 의원은 “이제는 네 가지를 해결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에 대한 판단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며 “만일 시가 해결할 수 없다면 확실하게 이야기하고 그에 대한 대안도 세워야 할 때”라고 몰아붙였다.
시 관계자는 ”재검토 사항에 대해 실질적인 보완 대책을 마련해 행자부에 재심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